사령운, 세설신어가 등장한 유송 문제 원가의치 [58화]


원가 6년(429), 팽성왕 유의강을 형주자사, 장사왕 의흔을 남연주 자사, 강하왕 유의공을 남서주자사로 삼으며 황권 강화를 도모한다.


원가 7년(430), 문제 유의륭은 재위 기간 국력이 강성해지고 북위에 빼앗긴 황하 이남을 수복해야 한다는 의론에 따라 첫 번째 북벌을 시도한다. (위진남북조 시대 총 두 차례 북벌을 시도하지만 모두 실패)


원가 8년(431), 북벌군은 사실상 영토 확장의 의지가 없었다. 유송 문제 본인이 권신들을 지나치게 의식해 북벌에 나선 장군들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지도 못했으며, 황하 이남의 땅들은 공격하긴 쉬워도 지키긴 어려우므로 이때의 북벌은 사실상 군사 시위에 불과했다.

총주자사 유흥조가 하북으로 진격해 태항산 일대를 장악해야 한다고 상주했으나 조정에선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북위 탁발도는 이런 송나라의 미진한 공세에 마음을 놓고 대하, 북연, 북량 등을 차례로 정벌했다.


이후의 전투에서도 승전보는 없고 패전 소식만 전해졌으며 북벌군의 총수 장사왕 유의흔도 전선을 유지할 수 없기에 수양으로 퇴각한다.


유송 원가 2차 북벌 실패유송 원가 2차 북벌 실패


사령운, 유의진, 유송 문제 원가의치

원가 9년(432), 팽성왕 유의강의 모친 왕태비가 죽었는데 범엽 형제는 대상 기간 중 음주하며 노래를 들었다는 죄목으로 선성 태수로 쫓겨가 그곳에서 후한서를 저술했다.


원가 10년(433), 위진남북조 시대 유명한 산수시인인 사령운이 사형을 당했다. 그는 이런 절명시를 남겼다.


이업(전한의 충신)은 끝내 자진을 택했지.


혜강(능력많던 고집쟁이)은 이치를 따져 명을 재촉했고, 곽원(죽지 않을 수도 있었지만 죽게 됨) 역시 목숨을 보전할 길 없었네.

...

이별의 마음 이제 다가오지만, 그 아픔 참아온 지 이미 오래되었지.

내 마음속 군자의 뜻이 빛을 보기도 전에 바위에서 사라짐이 한스러울 뿐.


명문 사씨 일가의 사령운명문 사씨 일가의 사령운


유유는 동진의 황위를 찬탈했기에 유송 내부의 화합을 위해서라도 강남 명문가의 지지가 강력히 필요했다. 그래서 명문 사씨의 뛰어난 문장가인 사령운을 강락공에 봉하고 식읍 3천 호를 내렸다. 이후 소제 유의부(유유의 장남)의 횡음으로 조정 대신들이 황제 폐위를 논했는데, 당시 사령운은 유의진(유유의 2남)과 친교가 깊었다.


유의진은 본디 경박하고 학문에 뜻이 없던 인물이라 서선지는 갖은 이유를 만들어 유의진을 죽이고 사령운 등의 측근들은 조정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유배 아닌 유배를 보낸다. 사령운은 이때 영가태수로 임명되어 건강을 떠났다.


이후 그는 열흘이나 유람을 떠나거나 관직의 일을 맡지 않는 등의 이유로 파면당하고, 마침내 모반을 꾀했다는 누명을 쓰고 광주 저잣거리에서 목이 베인다. 뛰어난 문인 한 사람이 이 시대에 세상을 떠났다. 그는 고관대작을 맡길 원했으나 뜻대로 되지 않자 불만을 표시하다 황제의 인내력을 바닥나게 했다.


그는 사실 모반 사건의 주인공이 본인인지도 몰랐었다.

유송(송나라) 문화 발전

원가 12년(435), 단양윤 소모지가 글을 올린다.


"불교의 교화가 중국을 뒤덮은 지가 이미 4대를 지났는데, 불상과 사탑이 있는 곳이 수천입니다. 최근에 오면서 사람들은 마음의 들뜬 말초적인 것을 공경하고, 정성을 지극하게 하지 않으며, 다시 사치스럽게 경쟁하는 것을 중하게 여기니, 재목과 대나무, 구리와 비단을 써버리고 없애는 것이 끝이 없습니다. 이러한 일은 신기神祈에게도 관계가 없으며 사람들의 일에도 누가 되니 이것을 막지 아니하면 흘러 다니는 폐단은 쉬지 않을 것입니다.


불교의 세속화가 가져온 폐단을 바로 보여주는 것이다.


유의경 지은 세설신어유의경 지은 세설신어


북조의 후조 황제 석호 이래로 불교가 크게 융성했는데 이즈음엔 남조에서 그 폐단이 심해졌고, 이후 북조에선 북위가 수억 전을 들여 불상을 조성하는 등 사치의 풍조로 불교계가 혼탁해졌다. 수나라로 천하가 통일되는 그때까지도 이런 폐단은 없어지지 않는다.


원가 17년(440), 중국 문학사에 중시되는 세설신어가 위진남북조 시대에 만들어졌다. 유송 문제 사촌 형인 유의경이 남연주자사로 임명된 뒤에 만들어진 것으로 성정이 간소하고 욕심이 적었으며 문학을 애호했기에 세설신어 집필이 가능했다. 그의 휘하에 있는 수많은 문인의 도움으로 완성된 세설신어는 국내에서 완역되어 판매 중이다.


원가 21년(444), 팽성왕 유의강의 정변 사건에 휘말린 범엽이 일족이 모두 주살되고 손자 범로만이 살아남았다. 생전에 성격이 괴팍했고 주색을 크게 밝혀 인망이 높진 않았다.


원가 22년(445), 유송 문제는 고주자사 단화지에게 명해 임읍(베트남 중남부와 캄보디아)을 치게 했다. 임읍의 국왕 범양매 등이 코끼리 부대로 승세를 이었지만 장군 종각이 사자 모형을 만들어 코끼리 부대를 물리치고 임읍국 점령했다.


임읍 일대, 경계면은 정확하지 않지만 대략 월남 인근에 해당임읍 일대, 경계면은 정확하지 않지만 대략 월남 인근에 해당

유송 문제 유의륭 가족 관계

황후

문원황후 원제규(文元皇后 袁齊嬀, 405년 ~ 440년)

효무소태후 노혜남(孝武昭皇太后 路惠男, 412년 ~ 466년)

명선태후 심용희(明宣皇太后 沈容姬, 414년 ~ 453년)



후궁

숙비 반씨(淑妃 潘氏, ? ~ 453년)

숙의 오씨(淑儀 吳氏)

수의 고씨(修儀 高氏)

수의 강씨(修儀 江氏)

수화 은씨(修華 殷氏, ? ~ 459년) - 사후 장녕원숙비(長寧園淑妃)로 추봉

수용 진씨(修容 陳氏)

첩여 조씨(婕妤 曹氏)

용화 사씨(容華 謝氏)

수의 양씨(修儀 楊氏)

미인 형씨(美人 邢氏)

미인 채씨(美人 蔡氏)

미인 동씨(美人 董氏)

미인 안씨(美人 顔氏)

미인 진씨(美人 陳氏)

미인 순씨(美人 荀氏)

미인 나씨(美人 羅氏)

미인 장씨(美人 蔣氏, ? ~ 446년)

황자

황태자 유소 휴원(皇太子 劉劭 休遠, 424년 ~ 453년) - 문원황후 원씨 소생, 제4대 황제 원흉(元兇)

시흥왕 유준 휴명(始興王 劉濬 休明, 429년 ~ 453년) - 숙비 반씨 소생

무릉왕 유준 휴룡(武陵王 劉駿 休龍) - 효무소황태후 노씨 소생, 제5대 황제 효무제(孝武帝)

남평목왕 유삭 휴현(南平穆王 劉鑠 休玄, 431년 ~ 453년) - 숙의 오씨 소생

여릉소왕 유소 휴현(廬陵昭王 劉紹 休胤, 432년 ~ 452년) - 수의 고씨 소생

경릉왕 유탄 휴문(竟陵王 劉誕 休文, 433년 ~ 459년) - 수화 은씨 소생

건평선간왕 유굉 휴도(建平宣簡王 劉宏 休度, 434년 ~ 458년) - 첩여 조씨 소생

동해왕 유위 휴수(東海王 劉褘 休秀, 436년 ~ 470년) - 수용 진씨 소생

송명왕 유창 휴도(宋明王 劉昶 休道, 436년 ~ 497년) - 용화 사씨 소생, 유송 멸망 전 봉호는 단양왕(丹陽王), 북위 송명왕(宋明王)

무창왕 유혼 휴연(武昌王 劉渾 休淵, 439년 ~ 455년) - 수의 강씨 소생

상동왕 유욱 휴병(湘東王 劉彧 休炳, 439년 ~ 472년) - 명선황태후 심씨 소생, 제7대 황제 명제(明帝)

건안왕 유휴인(建安王 劉休仁, 443년 ~ 471년) - 수의 양씨 소생

진평랄왕 유휴우(晉平剌王 劉休佑, 445년 ~ 471년) - 미인 형씨 소생

해릉왕 유휴무(海陵王 劉休茂, 445년 ~ 461년) - 미인 채씨 소생

파양애왕 유휴업(鄱陽哀王 劉休業, 445년 ~ 456년) - 미인 동씨 소생

임경충왕 유휴천(臨慶沖王 劉休倩, 446년 ~ 454년) - 미인 안씨 소생

신야회왕 유이부(新野懷王 劉夷父, 447년 ~ 452년) - 미인 진씨 소생

계양왕 유휴범(桂陽王 劉休範, 448년 ~ 474년) - 미인 순씨 소생

파릉애왕 유휴약(巴陵哀王 劉休若, 448년 ~ 471년) - 미인 나씨 소생



황녀

동양헌공주 유영아(東陽獻公主 劉英娥) - 문원황후 원씨 소생 - 왕담소(王曇首) 아들 왕승작(王僧綽)과 혼인

해염공주(海鹽公主) - 미인 장씨 소생 - 조백부(趙伯符) 아들 조정(趙倩)과 혼인

장성공주(長城公主) - 사조(謝朓) 어머니 - 사술(謝述) 아들 사위(謝緯)와 혼인

임천장공주 유영원(臨川長公主 劉英媛) - 왕언(王偃) 아들 왕조(王藻)와 혼인

회양공주(淮陽公主) - 강효(江斅) 어머니 - 강임(江恁)과 혼인

신채공주 유영미(新蔡公主 劉英媚) - 하우(何瑀) 아들 하매(何邁)와 혼인 - 전폐제 유자업(前廃帝劉子業, 조카뻘)의 후궁에 들어가 귀빈으로 책봉되어 사(謝)씨를 자칭함

남양공주(南陽公主) - 서담지(徐湛之) 아들 서항지(徐恒之)와 혼인

낭야정장공주(琅邪貞長公主) - 저애(褚曖, 저유지(褚裕之) 아들인 저적지(褚寂之) 아들)와 혼인

남군헌공주(南郡獻公主) - 저담지(褚湛之) 아들 저연(褚淵)과 혼인

심양공주(尋陽公主) - 치엽(郗燁)과 혼인 - 딸인 치휘(郗徽)는 남조 양나라(梁) 무제(武帝)의 아내가 됨

여강공주(廬江公主) - 저담지(褚湛之) 아들 저징(褚澄)과 혼인 - 딸인 저령거(褚令璩)는 남조 제나라(齊) 동혼후(東昏侯)의 아내가 됨


관련 글

유송 무제 유유, 원가의치 송문제 유의륭 즉위 [57화]

후연 멸망 후 건국된 북연. 고구려 출신 고운 [56화]

대하 수도 통만성 함락. 북위 태무제 즉위 [55화]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