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에서 "연봉 계산기"로 검색하여 2019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해 봅니다. 그럼 임금계산기를 볼 수 있는데요. 여기서 연봉과 비과세액, 부양가족 수(본인포함), 20세 이하 자녀 수를 입력합니다. 저는 전 회사 연봉이랑 한 달 9만원씩 주어지던 식대를 포함했습니다. 비과세액이 10만원이라곤 하는데, 실제로 9만원만 지급하는 회사가 많습니다. 왜냐면 회사에서 회계처리를 할 때 1인당 9만원이 비과세 항목에 포함되기 때문이죠. 제 연봉 기준으로 월 환산 세후 약 340만원의 연봉 실수령액이 확인되네요. 실제로 전 회사에서 340만원 정도 받았던 것으로 기억납니다. 그럼, 만약에 제가 20대에 꿈꿨던 대로 아이 넷을 낳고 살았다면 같은 연봉에 실수령액은 얼마나 올랐을까요? 국민연금, 건강보험(요양보험..
연봉 5000 실수령액은 대략 350만원입니다.세전 416만원인데 약 60만원을 세금 + 국민연금으로 납부합니다. 저는 이번에 이직하면서 5,100만원으로 계약했습니다. 연봉 5000 실수령액과 거의 비슷합니다. 성과급, 수당, 기타 등등 모두 빼고 단순히 나누기 12해서 받는 기본급을 5,100만원으로 했습니다. 전 직장에 비해선 조금 (2%) 올랐지만, 대기업이 주는 메리트와 1원까지 칼같이 챙겨준다는 각종 근무 수당 때문에 그냥 5,100으로 계약했네요. 연봉 5000 실수령액은 350만원 정도. 확실히 5천 이후론 세금이 많이 떨어지는 느낌을 받습니다. 전 직장과 비교해서 월급은 약 10만원 가량 올랐습니다. 물론, 제가 고작 연봉 2% 올리려고 이직하는 바보는 아닙니다. 대기업 입사 기회가 생겼..
제가 주로 참고하는 곳은 MySalary 연봉탐색기입니다. 지금도 베타 버전이고 몇 년 전에도 베타 버전이었는데 계속 베타네요. 홈페이지 디자인은 조금씩 바뀌는데 계속 beta 버전인 건 조금 특이합니다. 어쨌든, 이곳에서 2019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2018, 2017 그리고 내년 2020년도 거의 비슷할 테니 MySalary 연봉탐색기 기억해두시면 편리할 겁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소개할 것은 "실수령액 계산기"와 "실수령액 표"입니다. 내 연봉 대비 월급을 알고 싶다면 두 가지 모두 확인해 두는 편이 좋습니다. 실수령액 계산기바로가기 : https://2019.mysalary.kr/salary-calculator-year.html 위 사이트로 이동해서 연봉을 천만단위까지 입..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