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인권 이란 단어가 무슨 뜻인지 알고 있나요? 인권이란 인간으로서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를 말합니다. 인간답게 살 권리가 바로 인권이죠. 매년 3월 8일, 인권과 무척 관련이 깊은 기념일이 있는데 궁금하지 않나요? 이 날은 바로 여성들의 인권을 지키기 위해 시작된 세계여성의날입니다. 약 110년 전 미국의 여성 노동자들은 먼지 투성인 공장에서 하루에 12시간에서 많게는 18시간까지 일해야 했습니다. 남성보다 적은 임금을 받으면서 말이죠. 심지어 여성에겐 투표 알 권리조차 없던 때였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미국의 한 작업장에서 많은 여성 노동자들이 화재로 숨지게 됩니다. 이에 분노한 여성들은 결국 처음 1908년 3월 8일 자신들의 인권을 지키기 위해 시위하기 시작했습니다. 죽임을 당하거나 감옥에 가면..
흉노, 동호, 돌궐, 회홀回鹘(위구르), 글단, 여진, 말갈, 선비족, 강, 오환, 유연, 카작哈萨克(카자흐족) 등은 북방민족입니다. 학교에선 잘 가르치지 않아 모르는 사람이 더 많습니다. 그래서 아래 지도를 통해 북방민족의 시대별 영역과 역사를 간단히 설명합니다. 상주시대商周(상나라와 주나라)에 흉노와 동호, 위치는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이후, 북방민족 흉노는 세력이 커지며 동호를 압박합니다. 동호는 너무 불쌍해졌네요. 흉노는 세력이 커지자 교만해지며 선비족과 오환으로 분열됩니다. 이후 강력한 한나라 왕조가 등장하며 북방민족 흉노를 꾸준히 공격하여 마침내 성공합니다. 한나라의 흉노 분열 계획은 성공하여 남흉노와 북흉노로 분열되었는데, 요즘의 남한, 북한과 비슷합니다. 한나라는 흉노족 이간 계획을 멈추..
한성 백제 박물관에서 촬영한 사진이며, 백제의 초기 수도는 서울이었습니다. 우리 민족 최초로 서울에 수도를 정한 나라가 백제인 셈이죠. ▷ 문화의 꽃을 피우다. 웅진에서 사비 백제로 538년 백제의 성왕은 웅진熊津(공주)의 서남쪽 금강錦江변의 사비泗沘(부여)로 수도를 옮기고 나라 이름을 남부여南夫餘로 바꿨다. 사비기(538~660)는 백제 전체 역사의 18%에 해당한다. 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122년간 5명의 왕이 즉위하였다. 나라 이름 남부여는 당시 적대 관계에 있었던 고구려에 맞서 부여의 정통성을 계승한다는 의식을 표명한 것이다. 사비 천도 후 백제는 중앙과 지방의 통치제도를 완성했으며, 불교 문화를 중심으로 다양하고 세련된 문화의 꽃을 피웠다. 특히 왜倭에 불교를 비롯한 여러 문물을 전해주었으며, ..
815 광복 후 우리나라 대한민국 교육 (한밭교육박물관) 해방 직후 교육계는 일제 잔재의 청산과 함께, 부족한 학교를 짓고 교사를 양성하는 등 우리나라 교육 회복에 힘썼다. 특히 잃어버렸던 우리말을 교육으로 되찾기 위해 매진하였다. 1946년 교수 요목을 제정하여 교육과정(교수 요목 시기 1946~1955)을 운영하게 되었다. 815 광복 이후 교수 요목의 특색은 교과 지도내용의 상세화, 분과 주의 채택과 체계적 지도를 통한 지력 배양, 홍익인간의 이념에 의한 애국애족 교육과 일제 잔재의 제거 등을 들 수 있다. ◆ 815 광복과 교육 미 군정(1945.9.9~1948.8.15)은 우리나라의 교육 실정에 어두웠기 때문에 교육 자문기관은 조선교육위원회(The Korean Committee on Educat..
[북방민족 지도 1] 선비족 셋으로 나뉘다 (한나라~5호16국~위진남북조 초기) 흉노, 동호, 돌궐, 회홀回鹘(위구르), 글단, 여진, 말갈, 선비족, 강, 오환, 유연, 카작哈萨克(카자흐족) 등은 북방민족입니다. 학교에선 잘 가르치지 않아 모르는 사람이 더 많습니다. 그래서 아래 지도를 통해 북방민족의 시대별 영역과 역사를 간단히 설명합니다. 상주시대商周(상나라와 주나라)에 흉노와 동호, 위치는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이후, 북방민족 흉노는 세력이 커지며 동호를 압박합니다. 동호는 너무 불쌍해졌네요. 흉노는 세력이 커지자 교만해지며 선비족과 오환으로 분열됩니다. 이후 강력한 한나라 왕조가 등장하며 북방민족 흉노를 꾸준히 공격하여 마침내 성공합니다. 한나라의 흉노 분열 계획은 성공하여 남흉노와 북흉노로 ..
어느 중국 네티즌의 글을 번역했습니다. 제 중국어 실력이 짧아서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참조 : 좀 봐봐. 야비한 한국인들의 짓을 (한국인의 중국 역사 왜곡) [링크] 고구려는 중국 역사이며 한국과 일부 중국 학자들이 역사 왜곡 한다는 주제의 글입니다. 화딱지 나는 중국 네티즌의 글 하나 함께 읽어보시죠. 동북공정 정말 열받습니다. 중국 사람의 글을 번역한 겁니다.오해하지 마세요.제 주장이 아닙니다. 고구려 역사 = 중국사역사를 왜곡하고, 사실을 왜곡하는 한국인 - 고구려 역사는 한국 역사 아니다 2003년 6월, 광명일보光明日报엔 "시론试论 : 고구려 역사 연구의 몇 가지 문제점" 제목의 글이 발표되었는데 분석하면 이렇습니다. 고구려 정권의 성질 (동북공정 논리임) 중원 왕조의 제약을 받음중국의 지..
공조냉동기계기사 중 전기제어공학 2012~2017 요점 정리된 pdf 파일을 소개합니다. 일단, 간단히 맛보기로 일부 내용을 소개하고요. 전체 내용은 글 맨 아래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먼저, 공조냉동기계기사 / 산업기사 전기제어공학 요점 정리 맛보기 시작합니다. * 전동기 1. 동기전동기 1) 정속도 전동기이다 2) 저속도에서 효율 좋다 3) 난조가 일어나기 쉽다 4) 기동장치가 필요하다 * 물리적인 제량이 전기적인 신호로 처리되는 변환 장치의 정적 특성 1. 정밀도 2. 분해능 3. 반복성 * 시정수 1. 어떤 회로, 어떤 물체, 혹은 어떤 제어대상이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얼마나 빠르게, 느리게 반응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2. 시정수는 크면 클수록 과도현상은 오래 지속된다. * [추치제어]..
덕수궁 중명전 德壽宮 重明殿Jungmyeongjeon Hall of Deoksugung Palace 중명전과 예원학교 일대는 서양 선교사들의 거주지였다가 1897년에 경운궁(현 덕수궁)을 확장할 때 궁궐에 포함되었다. 경운궁 본궁과 이 일대 사이에 이미 미국 공사관이 자리를 잡고 있어서 별궁처럼 사용되었다. 중명전은 황실 도서관으로 1899년에 지어졌다. 처음에는 1층의 서양식 건물이었으나, 1901년 화재 이후 지금과 같은 2층 건물로 재건되었다. 중명전 외에도 환벽정, 만희당을 비롯한 10여 채의 전각들이 있었으나, 1920년대 이후 중명전 이외의 건물은 없어졌다. 중명전은 고종이 1904년 경운궁 화재 이후 1907년 강제퇴위 될 때까지 머물렀던 곳으로, 1905년 을사늑약을 체결한 비운의 장소이기..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용두사지 철당간이 서 있는 곳은 고려 시대 청주의 대표적인 사찰이었던 용두사가 있던 자리이다. 신라와 고려 시대에 사찰의 건립과 함께 많은 수의 당간이 세워졌으나, 현재는 대부분 당간을 받치고 있던 지주만이 남아있다. (용두사지 철당간도 마찬가지) 용두사지 철당간은 화강석으로 지주를 세우고 그사이에 둥근 철통 30개를 연결하여 세운 것인데, 현재는 20개만이 남아 있다. 이 중 밑에서 세 번째의 용두사지 철당간 철통에 용두사철당기가 새겨져 있다. 철당기에는 용두사지 철당간을 세우게 된 내력과 건립 연대, 그리고 건립에 관여한 사람들의 관직명이 적혀 있어, 당시 지방 경영과 관련된 사실을 알 수 있다. 용두사지 철당간 철당기 끝에는 962년 준풍3년에 주성하였다고 하여, 고려 광종 때..
삼오의 범위와 지역에 대해서 통전과 수경주가 말하는 곳은 다르다. (삼국지 오나라 손권과 위진남북조 시대 남조의 중심부) 통전 : 단양丹陽, 오흥吳興, 오군吳郡 수경주 : 오흥, 오, 회계군會稽 이렇게 일정하지 않으나 이른바 장강 삼각주지대, 당시의 행정구획으로는 양주 일부와 남서주가 해당하는 지역이다. 삼국지 오나라 손권이 기반을 잡았을 때, 개발이 더딘 지역이기도 하다. 삼오지방 지세의 특징은 저해발(2m~5m)의 대평원이 펼쳐져 있으며 이것은 주로 장강, 전당강錢塘江의 충적작용으로 형성된 것이다. 태호太湖를 중심으로 북, 동, 남의 세 지역 즉 육조시대(위진남북조 시대 남조의 역사)의 오군, 진릉군, 오흥군, 동부는 평탄하고도 저해발의 대평원 지대이며 태호의 배수로인 누累, 오송吳淞, 황포黃浦의 여..
1. 남쪽의 오를 치려는 조비 이릉대전이 끝나고 몇 달 지나서 위나라 조비가 움직인다. 그는 이릉대전 내내 오나라 손권에게 자질자레한 요구를 한 데 이어 이번에는 신비와 환계를 보내 아예 손권의 아들을 요구한다. 당연히 손권은 그 요구를 거절하고, 조비는 그것을 빌미 삼아 오를 치려한다. 이릉대전 당시 선남벌론을 주장했던 유엽이 조비에게 말하기를 "저들은 새로이 뜻을 얻은지라 위아래가 마음을 가지런히 하고 있으며, 강과 호수로 막히고 둘러져 있어서 빠른 시간 안에 제압할 수 없습니다. " 라고 반대해보지만, 조비는 오정하기로 마음을 굳게 먹은 지라 거절하고, 9월에 조휴, 장료, 장패에게 명령을 내려 동구 (장강을 건너는 입구)로 나가게 하였고, 조인, 장제(부장 : 왕쌍, 상조, 조태)를 유수로 조진,..
후에 융중대로 유명한 삼국지 제갈량(181~234)의 자는 공명孔明으로 원래 산동 낭야군琅句郡 양도현陽都縣(지금의 산동성山東省 근수현沂水縣) 사람이다. 삼고초려의 주인공인 제갈공명은 어려서 아버지(제갈규)와 어머니를 잃고 숙부(제갈현)를 따라 형주 지역으로 피난 와 있었다. 제갈공명은 17세 되던 해에 숙부가 죽자 몇 채의 초려草廬(초가집, 짚이나 갈대로 지붕을 인 집)를 짓고는 농사를 짓는 한편 친구와 만나 교류하면서 천하사를 두고 담론하고 있었다. (융중대가 괜히 나온 건 아니다. 친구들과 많은 이야기를 나눴을 것이다) 유비가 제갈량 공명이라는 당대 최고의 전략가를 얻기 위해 관우, 장비를 대동하고 세 차례나 그의 초려를 방문한 것은 유명한 이야기(삼고초려로 유명)지만, 제갈량은 유비의 예우에 감동한..
서거일은 1910년 3월 26일, 사형선고일 2월 14일, 거사일 1월 26일입니다. 이토 히로부미를 살해한 혐의로 사형을 선고받았습니다. 내용 출처는 안중근 의사 기념관이며, 1. 안중근 의사에 대해 2. 이토 히로부미 3. 안중근 의사 서거일 순서로 소개합니다. 천천히 정독해 주세요. 대한국인 안중근 의사한국 독립운동의 영원한 상징 안중근은 처음에는 계몽운동을 펼치다가 1907년 국외로 망명하고 의병을 일으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으며, 1909년 한국 침략의 원흉이자 동양 평화의 파괴자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하면서 민족과 인류의 구원 앞에 자신을 산화시켜 간 의사이다. 1879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난 안중근은 문명 개화론자인 아버지 안태훈의 영향 아래 어린 시절을 황해도 신천의 청계동 산골 마을에서 학..
그러나 여기 요동군의 인구가 64,158호인데 81,714명으로 잘못 계산되어 있음을 고려하여 64,158호가 약 30만이 된다고 생각하면 요동, 현도, 낙랑에 약 60만명이 살고 있었다는 계산할 수 있다. 전편 : 고구려 인구와 영토, 당나라 백제 낙랑군과 전투 그러나 창해군으로 편입되었다는 남려의 예인 28만명의 행방이 묘연한 것이다. 이것을 맥족 계통인 부여에 의한 영토 확장에 따르는 인구 흡수로 보아야 할 것인가? 그렇다면 부여가 뒤에 고구려에 복속하게 되니 앞의 60만에 28민을 더해 88만명이 같은 지역에 살고 있었다는 계산이 된다. 부여의 인구는 어떠하였는가? 위지 동이전(권300, 부여전)에 영토의 둘레가 2,000리라하고 인구에 관한 기록은 없다. 그러나 같은 크기의 땅에 30,000호가..
14세(637년)에 황궁에 들어온 무측천은 입궁한 지 두 달이 지나도록 황제 당태종을 가까이서 볼 기회조차 얻지 못하고, 온종일 액정궁의 태감들로부터 황궁의 규칙과 예의, 용어를 배우며 온갖 잡일을 도맡아 해야만 했다. 측천무후로선 황제의 눈에 들어 관등에 오르기 전에는 이 고단한 삶이 개선될 여지가 없었다. 무측천의 주위에는 황제의 얼굴 한 번 보지 못하고 늙은 궁녀들이, 어떻게 황궁에서 살아남아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예가 부지기수였다. 유력한 집안의 딸이거나 재물을 써서 힘 있는 태감이나 궁녀를 매수하지 않고서는 수많은 궁녀를 제치고 황제를 만날 수 있는 길은 요원했다. 14세의 무측천은 일반 소녀는 구경도 하기 힘든 황궁에 후궁으로 뽑혀 들어와 장밋빛 미래에 한껏 부풀었었지만, 이내 황궁의 냉혹하고 ..
삼국시대 부터 오나라 삼오지역은 중앙 정부완 별개의 세력이 지배하던 땅이었습니다. 바로 대대로 삼오 일대를 지배하던 지방 호족들이었는데요. 이들은 영가의난 이후로 진원제(사마예)와 협력합니다. 아무래도 중앙정부가 팔왕의난을 기점으로 망가졌거든요. 흉노족 유요는 한나라를 세워 진나라 수도 장안에서 두 번이나 황제를 데려다가 끔살할 정도였으니깐요. 다만, 이번에 소개할 삼국지 오나라 태자태부 하소 이야기는 손권이 아직은 왕이던 시기입니다. 아무리 왕이어도 중앙정부에서 파견한 관리를 닭이라고 놀리다니 ... 오나라 일대는 참 독특했습니다. 독특했어요. 하태부賀太傅(삼국지 오나라 태자태부 하소賀邵)는 오군吳郡의 태수가 되었는데 처음에는 문밖에 나가려고 하지도 않았다. 그래서 오군의 호족豪族들은 그를 바보라며 관..
세종공公은 …와 더불어 …. 몇 달 전에 태후는 공경公卿의 미녀들을 택하여 궁중에 모아 두고 공이 누구에게 마음이 있는지를 보았다. 공은 미실낭주를 가장 좋아하였다. …태후는 이에 제帝에게 묻기를 "미실의 아름다움… 전군殿君을 …합니까" 하였다. 제帝 (진흥왕) 또한 아름답게 여겨 "오직 어머니가 정할 바입니다. 단 …태종苔宗 노신이 알지 못해서 …" 하였다. 태후 또한 그렇게 여겼다. 이에 태종을 불렀다. 미실로서 의논하여, "며느리를 얻는 데 지아비에게 의논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니, 태종이 "폐하의 집안일에 어찌 감히 말씀을 드리겠습니까?" 하였다. 태후가 “이 처녀는 곧 영실英失의 손입니다. 나의 우군右君(법흥왕의 유명으로 지소태후가 영실을 계부(繼父)로 맞았기에 우군(右君)으로 표현한 것으로..
진정한 지배자로서의 왕王이 등장하다, 고대국가란 무엇인가?고조선 멸망 전후 등장한 수많은 나라들도 서로 정복과 통합의 과정을 거쳤어요. 그 결과 고구려는 부여, 옥저, 동예를 흡수했고, 백제는 마한을, 사로국(훗날의 신라)은 진한을 통합해갔죠. 또 변한의 소국 중 하나였던 구야국(훗날의 금관가야, 전기 가야 연맹의 맹주)은 변한 일대에 분포한 정치 집단의 수장으로 성장해갔어요. 한반도가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의 4국으로 재편성된 거죠. 그러나 우리는 이 시기를 4국 시대가 아닌 3국 시대라고 불러요. 고구려, 백제, 신라는 '고대국가'라는 체제로 변화했지만, 가야는 연맹 왕국 단계에서 멸망했기 때문이죠. 연맹왕국의 왕이 부족장의 대표에 불과했다면, 고대국가의 왕은 타 부족장을 압도하는 지배자의 성격..
유선은 207년에 태어나 271년에 65세의 나이로 저 세상을 가셨습니다. 촉한의 후주로 자는 공사이며 어렸을 때 이름은 아두입니다. 유비의 아들로 어머니는 소열황후 감씨이며 삼국시대 촉한의 제2대 황제입니다. 후주 유선은 어려서부터 아버지를 따라 떠돌이 생활을 하였으며 유비가 익주에 들어가 촉한을 건립할 때 태자가 됩니다. 223년에 즉위하여 42년간 삼국지 속 황제로 살았습니다. 제갈량은 상부라 불렀고 강유의 북벌 당시엔 간신해 황호를 총애했습니다. 263년, 위나라 장군 등애가 양평, 면죽에 이르러 제갈첨 부자를 전쟁 중 사살하자 유선은 항복하여 촉한은 멸망합니다. 유선은 낙양으로 끌려가 안락공에 임명되어 후에 낙양에서 생을 마감합니다. ◆ 삼국지 유선 어린 시절208년 (건안 13년) 9월, 조조..
이렇게 좋은 책을 낮은 가격에 판매하는 서해문고 관계자분들에게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저의 매천 황현의 매천야록 서평 시작합니다. 수많은 민란충무공과 우암의 후손들마저도 탐욕에 빠진 구한 말. 작디작은 권력을 탐하려는 자들은 수많은 이들을 박해하고 괴롭혔다. 책을 정확히 절반으로 나눠보면, 조선 왕조에 대한 분노의 민란과 식민지배를 시작한 일제의 분노에 대한 민란이 존재한다. 친일파에 대한 민란은 의외로 적다. 그들의 영향력을 당시엔 알아차리지 못했던 것이 원인인 듯 민씨 일가가 다시 집권하자 민중들이 대원군을 그리워했으나, 민씨 일가의 흉포함이 그 이유이지 대원군의 선행이 딱히 그리웠던 건 아니라는 기록처럼, 구한말의 민중들은 상하좌우가 모두 막혀 들끓는 분노를 표출할..
중국 이화원颐和园, 삼국지연의 그림, 채양, 삼고초려, 유비 백마 ■ 고성에서 관공(관우)이 채양蔡阳의 목을 베다 관우는 감부인甘, 미부인糜, 두 형수를 호송하며, 고성古城으로 도주한다. 조조에게 항복하지 않고 장비와 맞서 싸운다. 조조의 장수 채양이 추격해 오자, 성루에 있던 장비는 북을 치며 응원한다. 관우는 이에 호응하듯 채양과 겨뤄 그의 목을 벤다. ■ 유황숙劉皇叔의 말이 물속에서 뛰어오르다 유비는 형주에서 유표를 보좌했으나, 그의 아내 채부인은 유비를 없애려 했다. 채모의 병사가 추격해 왔지만, 유비의 말은 물속에서 뛰어올라 목숨을 지킬 수 있었다. ※ 유비는 한나라 황실과 똑같은 유劉가 성입니다. 한나라 조정에서는 헌제獻帝 유협劉協보다 나이가 많으므로 그를 황제의 숙부인 유황숙이라 부르기도 했..
역알못 주장하는 김부식 삼국사기 비판, 삼국시대 이해 못한 사람 본인이 역알못이라는 거 모르고 삼국시대를 주제로 쓰여진 김부식 삼국사기를 비판하고 있습니다. 화가나서 한 번도 더 읽어봤는데, 역알못 맞아요. 더군다나 이런 사람이 국정 교과서 논의에 끼어들까 봐 그것도 걱정입니다. 제가 링크 건 글로 이동해 댓글 좀 보세요. 아주 속이 터집니다. 역알못에 호응하는 건 삼국시대 이해 못하는 역알못 뿐이겠죠. (흔한 역알못의 김부식 삼국사기 까는 글. 삼국시대 이해도 못하는 사람의 글 [클릭]) 관련 글신라 말기 822~839년 주요 인물, 김양 김헌창 장보고 문성왕 등고구려 전성기 광개토왕의 일생과 업적, 광개토태왕의 위대한 길 서평고구려 벽화로 보는 우리민족의 아름다움 [미술품]◆ 본문 중 삼국사기는 우리..
고구려 인구와 영토, 당나라 백제 낙랑군과 전투 고구려 인구1. 당나라, 백제 공격과 연정토 투항 (영토 크기) 출처 : 고구려 민족형성과 사회, 이옥, 1984 위지 동이전에 의하면 고구려의 둘레는 2,000리이며 이 안에 30,000호가 살고 있다고 전한다. 그러나 구당서 권 199 상, 고구려에는 7세기 중엽 고구려에 697,000호가 있었다고 되어 있다. 이 왕국이 7세기 동안 영토를 상당히 확장했던 것은 사실이다. 이 영토는 5세기 말경에는 북으로 농안, 남으로는 충청도, 서로는 요하, 동으로는 동해까지 뻗쳤었다. 그러나 이러한 영토의 확장에도 불구하고 총인구수가 구당서에 전해지는 만큼 많았다고는 믿어지지 않는다. 한 호가 보통 4인에서 5인 정도로 구성된다. 위의 사료에 따르면 고구려의 인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