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나라 전성기를 만든 세종 야율원 정치 3가지, 완안량 배제

요나라 전성기를 만든 세종 야율원 정치 3가지, 완안량 배제


요나라 전성기를 이끈 세종(야율원) 정치 3가지요세종 야율원은 요나라 해릉왕이 만든 혼란스러웠던 정세를 안정시키고 국력을 신장하여 전성기를 시작.


◆ 요나라 세종의 통치

세종은 중원을 통치의 중심으로 삼는 완안량의 정책을 계속 집행하면서 완안량이 실행했던 개혁의 성과를 발전시켰다. 그는 즉위한 초기에 당시의 형세를 분석하고 참지정사 이석의 의견을 받아들여 계속 한족 지역을 통치의 중심으로 삼으면서 봉건제를 발전시켰다.


천하의 중심부를 점거하면서 사방을 장악하고 통제해 만세의 대업을 이루었다. 부분적인 수구 세력이 전면적으로 해릉왕의 정책을 부정하는 상황을 전환시켜 계속 의연하게 중도를 수도로 하도록 결정하고, 아울러 즉시 동경을 떠나 중도로 이주해 진취적인 면을 추구하는 결심을 강하게 표현했다.


◆ 요나라 질서의 안정

세종은 정책의 방침을 정하자마자 곧바로 통치를 확고히 하고 질서를 안정시키는 작업에 착수해 혼란한 상황을 끝냈다. 먼저 그는 조서를 내려 완안량의 죄악을 폭로하면서 대사면을 시행했다. 그리고 완안량 시기의 여러 관리들을 불러 유시하고 완안량에게 파면된 이들을 기용해 그들이 새로운 황제에게 충성을 다하도록 격려했다.


또한 민간에서 징발했던 말을 돌려주고, 죽은 자는 배상해 주었다. 동시에 군사적인 역량을 다시 배치해 항복을 권유하는 사자들을 파견하고 토벌과 초무의 두 가지 방법으로 전력을 다했다.


마침내, 이랄와알의 기의군에 대응함으로써 마침내 대정 2년(1162) 9월에 기의군을 진압하고 내부를 안정시켰다. 세종은 남송과의 관계를 조정해 남송과의 전쟁을 끝내고 금과 남송이 대치하는 정치적 구조를 확정했다.



[요나라 세종, 요세종 야율원][요나라 세종, 요세종 야율원]


◆ 관제의 조정과 이치의 정돈

세종은 정륭 관제를 약간 조정해 평장정사를 두 명으로 늘리고, 상서령과 좌우 승상을 모두 재상으로 삼았다. 동시에 거란, 발해인, 한인, 여진 등 여러 부락 사람을 광범위하게 받아들여 통치에 참여시켰고, 심지어 그를 반대했던 일부 사람들까지 임용했다. 그는 금대 초기 이래로 종실과 완안부 사람만이 중요한 정무에 참여하는 상황을 개선했다.


또한 완안량이 종실이나 자신과 다른 세력을 배척던 상황을 전환시켰다.



[요세종 야율원 요나라][요세종 야율원 요나라]



이에 따라 통치의 기초가 확대되고 광범위한 지지를 받아 그를 핵심으로 하면서, 여러 민족의 상층부를 포괄하는 하나의 통치 집단을 형성했다.


"오랫동안 지방을 다스렸기에 혼란의 원인을 잘 알고 있었고, 관리들의 통치에 득과 실을 알고 있다."


그는 이렇게 말했듯이 여진, 한인 사회에 대해 모두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었다. 그리고 정책을 제대로 시행할 수 있었다.


"몸소 근검을 행하고, 효체를 숭상하고, 상벌을 신뢰할 수 있게 하고, 농업과 잠업을 중시하고, 수령의 선발을 신중히 하고, 청렴과 감찰의 책임을 엄중하게 하라"



[요나라] 야율원, 요나라 전성기[요나라] 야율원, 요나라 전성기



그는 완안량의 기본적인 국책을 바꾸지 않는다는 전제하에서 완안량이 실패했던 교훈을 받아들였다. 그는 항상 완안량의 정치가 가혹하고 급격했으며, 간언을 받아들이지 않고 마음이 내키는 대로 전횡을 행하고, 신료에게는 예의로서 대우하지 않았던 것을 경계했다.


또한 재상과 집정권에게 원대하게 도모하는 데 힘쓰고, 경제를 학습하고, 현명하고 능력 있는 이들을 추천하며, 탐관오리를 탄핵하라고 요구했다. 아울러 몸소 힘써 실천해 순행 중에 직접 지방 관원의 정적과 행위를 세밀하게 시찰했다.

"지방의 수령은 천리의 기쁨이나 슬픔과 관계가 있고, 현령의 직책은 가장 백성과 가깝다."


그는 이렇게 생각해 지방관의 선발과 임명을 대단히 중시했다. 그는 청렴하고 공평하도록 백관을 경계시키고, 탐관오리들을 엄하게 징벌해 재위기간은 이렇다고 한다.


"모든 신료가 직책을 수행하면서 상하가 모두 평안했다."




관련 글



요나라 전성기를 만든 세종 야율원 정치 3가지, 완안량 배제

ⓒ 출처 : 요, 금의 역사, 이계지, 신서원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