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직은 소수 직렬입니다. 전체 공무원 정원이 1천 명이라 치면 그중 40명 정도뿐입니다. 행정직의 약 10분의 1 수준입니다. 이 적은 수의 건축직 공무원은 입사부터 퇴직까지 계속 유사한 일을 합니다. 직렬이 직렬이다 보니 건축 관련 업무만 입사부터 퇴직 때까지 주구 장창하게 되는 것이죠. 목차 하는 일 장점 단점 현실 건축직 공무원 하는 일 하는 일은 건축 허가, 불법 건축물 지도 단속, 지자체에서 발주하는 건축 공사 등의 업무를 주로 하게 되는데 각 지자체 내에 건축물을 짓고자 하면, 건축 공무원에게 건축허가를 받아서 건축물을 짓게 되는 거죠. 허가를 정당하게 받지 않고 지은 건축물에 대해서는 건축 공무원이 지도 단속을 하게 되고요. 또한 지자체도 건물을 지을 필요가 있으니 이때 건축공무원들이 건축..
9급 지적직 공무원 준비하는 지인이 건축직도 고민하더라고요. 건축직이 슈퍼갑의 위치라고 하는데요. 사실 딱히 그런 거 느껴보진 못할 겁니다. 그나마 건축사사무소랑은 어느 정도 그런 느낌이 없진 않습니다만, 막상 해보면 동네북이 따로 없다는 게 중론입니다. 물론, 지적기사 / 지적산업기사와 관련도 없습니다만. 어쨌든, 법에 안맞거나 불법이거나 해서 뜯거나 안 된다 하면 1차적으로 민원에게 욕먹고, 거기에 꼭 시의원이나 군구의 권 찾아가서 난리 치면 거기에도 불려 가서 보고하고, 거기다가 건축이라는 게 건축법만 보는 게 아니라 타법들도 다 봐야 하는 거라서요. 서론이 조금 길어질 거 같은데, 우선 지적직 공무원 시험에 필요한 한국 지적 백년사 역사 편 pdf 정리된 거 먼저 소개할게요. [한국 지적 백년사 ..
지안에듀에 좋은 합격수기가 올라와 있었네요. 9급 건축직 공무원에 합격한 분의 수기입니다. 출처 : 지안에듀 합격수기 - 9급 건축직 공무원(시설) [바로가기] 이번 2019년 1회 지방직 시험에 최종합격하게 되어 합격수기 남깁니다. 공부 기간은 일과 병행하며 9개월 준비 후 잠시 접었다가 1년 뒤 다시 4개월을 공부하여 총 13개월이 걸렸습니다. 저 같은 경우엔 버릴 과목은 과감히 버리고 점수 낼 수 있는 과목에 집중적으로 투자하였습니다. 출퇴근 간 버스 안에서 암기과목 노트를 따로 만들어 오가며 공부하였습니다. (출퇴근 왕복 3시간) 베이스 - 실업계, 비전공, 4년제 지방국립대 디자인과 졸업, 건축기사, 대략 5년 전 토익 900 건축계획 80점-이규상 기본강의, 문제 풀이 계획 또한 한국사와 같이..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