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세(637년)에 황궁에 들어온 무측천은 입궁한 지 두 달이 지나도록 황제 당태종을 가까이서 볼 기회조차 얻지 못하고, 온종일 액정궁의 태감들로부터 황궁의 규칙과 예의, 용어를 배우며 온갖 잡일을 도맡아 해야만 했다. 측천무후로선 황제의 눈에 들어 관등에 오르기 전에는 이 고단한 삶이 개선될 여지가 없었다. 무측천의 주위에는 황제의 얼굴 한 번 보지 못하고 늙은 궁녀들이, 어떻게 황궁에서 살아남아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예가 부지기수였다. 유력한 집안의 딸이거나 재물을 써서 힘 있는 태감이나 궁녀를 매수하지 않고서는 수많은 궁녀를 제치고 황제를 만날 수 있는 길은 요원했다. 14세의 무측천은 일반 소녀는 구경도 하기 힘든 황궁에 후궁으로 뽑혀 들어와 장밋빛 미래에 한껏 부풀었었지만, 이내 황궁의 냉혹하고 ..
신라 교역 목록 2 [태종무열왕 문무왕 신문왕 효소왕 성덕왕] (당나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655(2) 국내(우수주) - 흰 사슴(白鹿)655(2) 국내(굴불군) - 흰 돼지(白猪), 돼지의 머리는 하나, 몸체는 둘, 발이 여덟 개였다659(6) 국내(하슬라주) - 흰 새(白鳥) 문무왕(文武王) 662(1) 당나라 - 채색 비단 오백필(彩), 황제의 조칙에 따라 이전 임금에게 제사를 지내며 채색 비단 5백 필을 부조함662(2) 당 - 은 5천 7백 푼(銀), 가는 베 30필(細布), 머리 털 30량(頭髮), 우황 19량(牛黃), 당나라 병사들의 사기 진작을 위해 선물함 662(2) 당 - 토산물(方物)665(5) 당 - 자주옷 한 벌(紫衣), 허리띠 한 벌(腰帶), 채색 능직 비단 1백 필(彩綾)..
헤이안 시대를 중심으로, 고로칸과 견당사 남자 혼자 후쿠오카 여행 다녀왔습니다. 후쿠오카성터에 있는 고로칸 유적지를 들러서 촬영한 사진 소개할게요. 고로칸과 견당사 파트입니다. 최초의 견당사는 630년(조메이 2년) 8월에 이누카미노 미타스키(犬上御田鍬) 일행이었습니다. 894년(간표 6년)에는 스기와라노 미치자네(菅原道真)의 건의로 폐지될 때 까지 20여회 파견되었습니다. 견당사는 고로칸에서 출발했으며, 선박의 절반이 침몰할 정도로 항해는 위험했었습니다. 견당사 항해에 사용한 배 (모형)헤이안 시대, 9세기 9세기 헤이안시대 사용한 배를 복원한 모형입니다. 헤이안 시대였던 838년, 이해에 견당사가 마지막으로 파견되었습니다. 일본이란 고대 국가를 형성한 인물인 기비노 마키비(吉備真備)사이초(最澄)소마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