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 떠도는 3가지 이야기 정리해 봤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아직도 토익 점수 높고, 해외 연수 경험 있으면 취업이 잘 된다거나, 실력은 주관적이라 객관성이 없다고 착각하는 어린 친구들이 있는 것 같아요. 코딩하는데 토익 점수? 유지 보수할 때 해외 연수 경험? 글쎄요. 실력이란 건 내가 가늠하는 게 아니라 남이 평가해주는 것임에도 남의 이야기 안 들으려는 사람들도 보여요. 이유는 실력이란 게 객관적이고 경력자 니들은 고인물이라 니들 말에 나는 휘둘리지 않겠어!!! 라는 것. 그런 생각으론 IT 프로그래머가 아니라 뭘 해도 실패할 겁니다. 4학년에 취업 설명회 듣고 프로그래머 지원 욕심요즘 인문대 학생들 취업이 안 되어 되게 힘들죠. 그래서 4학년에 프로그래밍 취업 설명회 듣고 전공 버리는 학생들 있..
오늘은 부정적인 글을 적습니다. 안 좋게 적을 뿐이며, 취직하면 좋은 부분은 생략했습니다. 글 읽는 중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IT 관련 직업 나열하면 대분류에선 SM, SI, R&D 등이 많이 꼽힙니다. 실제 취직한 종사자도 많고요. 하지만, 셋 다 영양가 없을 수 있습니다. IT 분야 유망하여 직업으로 삼았는데, 위 세 분야 종사자 중 못 해먹겠다는 분들의 하소연은 끊이지 않죠. 세 분야에서 성공한 케이스도 있지만, 실패한 케이스에 속하는 분들은 안 좋은 이야기만 하겠죠. 이게 오늘의 주제입니다. 열정에 가득 찬 모습으로 IT 관련 직업 중 SM, SI, R&D 시작합니다. 이후 남는 건 없고 공허한 마음만 가득합니다. 회사는 돈을 원하고 프로그래머는 노가다 코딩만 반복하는 현실이죠. 회사는 빠른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