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이 무르익은 태청 3년(549) 3월, 후경이 격문을 발표하며 총공격에 나선다. 이를 위진남북조 시대 후경의난이라 한다. "폐하가 미덥지 않은 것을 높이면서 선비들을 배척하니 이는 전한 말기 신나라를 세운 왕망의 법입니다. 철로 화폐를 주조하면서 그 무게가 수시로 변하니 이는 후한 초기 촉나라에 점거했던 공손술의 제도입니다. 함부로 관직을 남발한 것은 갱시제와 조왕 사마륜의 행위입니다. 뇌물이 성행하고, 환관이 발호하고, 승려들이 배를 불리고, 황태자는 주옥과 주색을 탐하고, 상동왕 소역은 방종합니다. 남강왕 소회리와 정양왕 소기 등은 목후이관(목욕한 원숭이가 갓을 씀, 멍청하다고 놀리는 뜻)한 자들입니다. 그러니 누가 근왕에 나서고자 하겠습니까? 오늘의 거사가 어찌 죄가 될 수 있겠습니까." 남강왕..
후경의난으로 어지러운 위진남북조 시대 549년. 당대 역사가인 하지원何之元은 당시를 다음과 같이 회고하였다. "양나라의 인민은 대부분 병사가 되어 농업을 버리고 병사로 생활하고 있었다. 그들은 장관의 부하가 되어 악행을 저지르며 죄 없는 민중을 잡아들이고 선량한 사람들을 압박했다. 그로 인하여 인민은 유망하였고 도적은 더욱 횡행했다. 이런 상태가 몇 년이나 계속되었고 국가는 심한 위기에 처해 있었다." "양나라는 한漢의 1군郡 보다도 적으나 태반의 사람이 부곡이 되어 경작하지 아니하면서 먹고, 누에를 치지 아니하면서 옷을 입고 혹자는 왕후를 섬기고 장수에 기대어 처자를 거느리고 동서로 따라다니면서 백성들의 것을 빼앗고 양민을 해치는 악당이 되어 죄 없는 사람을 잡아 묶고 어진 사람을 핍박하니 백성들은 유..
양무제 태청 2년(548) 9월, 반란 준비를 치밀하게 준비하던 후경이 마침내 수양성에서 반기를 든다. 양나라에선 그전부터 후경의 반란 조짐이 있다는 상소가 꾸준히 올라왔었지만 간신 주이가 이를 모두 불태우거나 숨기는 바람에 양무제는 정작 이같은 사실을 알지 못했다가 느닷없는 후경의 반란 소식을 접하곤 매우 놀랐다. 후경은 먼저 회하 일대의 양아인에게 함께 거병할 것을 권했지만 양아인은 사자를 체포해 건강으로 보냈다. 후경은 이에 양아인 살해와 강서 일대의 할양을 요구하며 이를 거부할 시 민월(복건 일대)을 치겠다고 위협했다. 그런데도 양무제는 비상식적인 답신을 보낸다. "빈궁한 집도 5명 또는 10명의 빈객을 맞아들여 사람들을 기쁘게 만든다. 짐에게 그대는 단 한 명의 빈객에 해당한다. 원망의 말을 듣..
양무제 태청 원년(547) 9월, 양무제는 조카 정양후 소연명에게 15만의 대병을 주어 동위 토벌을 명한다. 소연명은 계책도 없고 황족임을 내세운 교만한 소인배였다. 처음 제장들의 반대에도 팽성을 공격했지만 함락시키지 못했고, 원군으로 합류한 동위 모용소종의 기습이 벌어지자 작은 손해를 입곤 겁에 질려 서둘러 철군한다. 당시 모용소종은 양나라 곽봉의 진영을 급습했으나 실패했었다. 소연명은 예하 장수들이 잘 막아냈음에도 이것에 겁을 먹고 철군을 결정했었다. 이에 노련한 모용소종이 거짓으로 먼저 철군한다. 양나라 군대의 군율이 엄격하고 방비도 철저해 쉽게 이길 수 없다고 판단했던 것이다. "내가 먼저 짐짓 퇴각하는 모습을 보여 적들이 쳐들어오도록 유인할 것이다. 너희는 기회를 보아 그들의 배후를 격살하라!"..
이젠 시선을 위진남북조 시대 남쪽으로 돌려보자.그곳엔 싯다르타 덕후 소연(= 양무제)이 다스리는 양나라가 있다. 당시, 위진남북조 시대의 남조인 양나라 황제와 신하들은 사치스러웠고,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승려가 되길 원했으며, 일반 백성들은 가혹한 세금과 굶주림에 시달렸다. 부유했던 강남의 사회가 거의 무너져 내렸다. 그럼에도 양무제는 무너져가는 남조 백성들의 삶을 이해하려는 의지가 없었다. "조정에서는 오히려 공덕을 쌓았다(부처에게 돈을 많이 바쳤으니 다 괜찮다~라는 의미). 조정에서 쓰는 것은 모두 정원에서 나온 식물이고 하나의 호박을 변화시켜 수십 종류로 만들었고 하나의 나물을 변화시켜 수십 가지의 맛을 내게 한 것이어서, 변화를 시켜서 많은 것을 만들었으니, 어떤 일에도 손해를 끼치지 않았다."..
"작은 현의 현령이 유능하면 큰 현으로 승진시키고 큰 현의 현령이 유능하면 이천석 관리로 승진시키라." 이런 양무제의 조명 덕택에 산음현령 구중부가 장사 내사, 무강 현령 하원이 선성태수로 승진하기도 했다. 위진남북조 시대, 유송과 남제에서 시행하던 오관五館을 일반 수재에게도 개방하고 정원에 제한을 두지 않았으며, 오관 출신 중 유능한 자들을 뽑아 바로 관리로 임명했다. 이 시책은 수나라 시기 과거제를 촉진하는 계기가 된다. 적어도 양나라 중기까지는 남조의 문학은 여느 때와는 다르게 활발하게 꽃을 피웠다. 또한, 관원이 되기 위한 교양 습득을 위해 학관을 세웠다. 오경 박사가 한 명씩 임명되어, 수백 명이 소속된 한 관을 담당했으며, 이 관에서 시험을 시행하여 우수한 학생을 관료로 발탁하였다. 기존의 구..
소의는 제나라 최혜경의 난을 진압한 후 상서령, 위위에 임명됐으나 소보권의 심복들은 그를 꺼려 죽이려 했다. "소의는 소란이 울림왕을 폐립 한 것을 흉내 내려 합니다!" 이에 소보권은 소의(양나라 무제 소연의 친형)에게 사약을 내렸다. 소의는 이 사약을 받아 마시고 죽었는데, 아무리 봐도 소의는 앞뒤가 꽉 막혀 도무지 말도 안 통하는 사람이 아닌가 싶다. "자고로 사람은 언젠가 죽기 마련이다. 상서령이 어찌 반기를 들어 도주할 수 있겠는가?" 당시 제나라엔 경릉팔우竟陵八友란 영명체의 대표적인 시인들이 있었다. 왕융王融, 사조謝朓, 범운范雲, 임방任昉, 심약沈約, 육수陸倕, 소침蕭琛, 소연蕭衍이 그들이다. 이중 사조는 명문 사씨 일가의 자제로 유송의 마지막 황제인 유욱의 목을 벤 왕경칙의 사위이기도 했다...
498년 12월, 암군 동혼후 소보권이 남제의 보위를 잇는다. 제명제 소란은 죽기 전에 서효사를 상서령, 심문계를 좌복야, 강우를 우복야, 유훤을 위위, 진현달에겐 군정, 시안왕 소요광에겐 안팎의 정사를 맡겼지만 동혼후의 전횡을 막을 순 없었다. 소보권은 즉위하자마자 부황의 영구가 태극전에 안치된 모습이 눈에 거슬려 속히 매장케 했다. 곡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목이 아프다는 이유로 하지 않았다. 책을 읽거나 글 쓰는 것을 싫어했고 태감들과 함께 굴을 파 쥐를 잡는 쥐잡기 놀이를 밤새도록 했다. 말을 더듬는 버릇도 있어서 신료들과 정사를 논하는 것도 꺼려, 태감과 무뢰배 소년들과 어울리는 것에 관심을 기울였다. 당시 옹주자사로 있던 종친 소연은 나라에 큰일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해 군비를 강화하고 사람을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