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오의 범위와 지역에 대해서 통전과 수경주가 말하는 곳은 다르다. (삼국지 오나라 손권과 위진남북조 시대 남조의 중심부) 통전 : 단양丹陽, 오흥吳興, 오군吳郡 수경주 : 오흥, 오, 회계군會稽 이렇게 일정하지 않으나 이른바 장강 삼각주지대, 당시의 행정구획으로는 양주 일부와 남서주가 해당하는 지역이다. 삼국지 오나라 손권이 기반을 잡았을 때, 개발이 더딘 지역이기도 하다. 삼오지방 지세의 특징은 저해발(2m~5m)의 대평원이 펼쳐져 있으며 이것은 주로 장강, 전당강錢塘江의 충적작용으로 형성된 것이다. 태호太湖를 중심으로 북, 동, 남의 세 지역 즉 육조시대(위진남북조 시대 남조의 역사)의 오군, 진릉군, 오흥군, 동부는 평탄하고도 저해발의 대평원 지대이며 태호의 배수로인 누累, 오송吳淞, 황포黃浦의 여..
북조 통일왕조 전진, 세상을 떠나는 왕맹 전진 건원 6년 11월의 일이었으니 병사를 일으킨 지 고작 1년도 되지 않아 전연은 전진에 멸망했다. 전연을 멸망시킨 부견은 양주의 전량국 장천석에서 투항을 권했고 장천석은 번국을 칭한다. 이후 부견은 요장을 보내 양주를 함락시키고 장천석은 장안으로 끌려와 시중, 비부상서, 귀의후에 봉해진다. 이후 그는 비수대전에서 패배할 당시 동진에 투항하여 효무제에게 중용되었다. 그러나 부견에게 좋지 않은 일이 벌어졌으니, 건원 11년(375), 왕맹이 5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죽기 직전 유소를 올렸다. "폐하는 공업이 쉽게 이뤄진 게 아니라는 사실을 알고 응당 전전긍긍하며 여림심연如臨深淵(두려워하고 조심하고 삼가며, 깊은 못 가에 서 있는 듯, 얇은 얼음을 밟듯 하라..
사마월 진회제 민제 최후, 한나라 유총 사치향락 빠지다 [14화] "지금 호로胡虜들이 낙양 근교까지 다가왔는데 모두 지킬 뜻이 없소. 조정은 모두 그대만을 믿고 있는데 어찌 지금 군사를 이끌고 멀리 출정하겠다는 것이오? 낙양을 포기하려는 것이오?" 진회제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사마월은 석륵을 토벌해 조정의 권위를 다시 세우겠다며 기어코 출병한다. 누가 봐도 임지인 동해로 돌아가겠다는 뜻이며 낙양은 버리겠다는 뜻이기도 했다. 이로 인해 『낙양의 수비병』은 거의 없어지고 기근은 더욱 심각해졌다. 사마월이 남긴 장수들은 공경들의 재산을 약탈하거나 공주들을 능욕하기까지 한다. 진회제는 참을 수 없어 구희에게 사마월 토벌을 명하는 밀조를 내렸고 그나마 사마월을 중심으로 움직이던 서진의 마지막 숨통은 그의 폭사와 함..
비극적인 황제 사마충 사마치, 서진 멸망과 영가의 난 [9화] 잔혹했던 왕준은 업성을 대대적으로 약탈했으며 선비족 사병들이 약탈한 부녀가 행군에 걸림돌이 되자 역수에 밀어 넣어 모두 죽였다. 이때 죽은 자만 8천여 명에 달한다고 했으니 이때부터 북방 유목민의 기병에 대한 공포가 천하에 퍼지기 시작했을 것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낙양을 점거했던 장방 또한 매우 교만했다. 낙양 일대를 약탈하기 일쑤였고 심지어 후궁과 궁녀들을 겁탈하거나 황실의 귀중품을 훔치기도 했다. 결정적으로 진혜제를 압박해 사마영의 황태제 신분을 폐하고 예장왕 사마치를 황태제로 세우는 조서를 내리게 했으며 함부로 장안 천도를 거행했다. 진혜제의 형제는 25명이었으나 이때까지 살아남은 사람은 오직 사마영과 사마치, 오왕 사마안 밖에 ..
[위진남북조 시대] 사마예를 받아들인 강남 호족들, 그 이유는? 서진은 팔왕의난을 기점으로 국운이 서서히 몰락합니다. 그리고 사마씨 왕들 사이에 의심이 만연하게 퍼지죠. 팔왕의난 최종 승자는 동해왕 사마월이지만, 그도 결국 자신이 끌어들인 이민족의 손에 제거됩니다. 그 유명한 영가의난 당시에 말이죠. 강남으로 이주한 사마예는 황위 계승권에서도 멀고, 그도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영향력』이 없던 그를 주시하는 사람들은 별로 없었습니다. 다만, 동해왕 사마월이 사마예를 의심해 끊임없이 속박하고 낭야 일대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감시했습니다. 그렇게 험난한 시기를 넘어 기어코 강남으로 이주하여 동진 건국자 동진 원제로 추앙받습니다. (결국 강남의 주인이 된 것은 낭야왕이 아닌, 낭야 왕씨 일..
영가의난에 일어난 2가지 충격적인 일화, 서진 치감과 등유 이 포스트에서 소개하는 영가의난 2가지 충격적인 일화는 유송의 황족 유효표 주도로 만들어진 세설신어가 출처입니다. 세설신어 上, 덕행德行편, 24화치공郗公(치감郗曇, 환온의 측근인 치초의 아버지인 치음의 동생, 치초의 작은아버지)은 영가의난永嘉之亂을 당하여 고향에서 굶주림으로 매우 고생하고 있었다. 고향 사람들은 치공이 훌륭한 덕을 갖추고 있는 사람이었으므로, 돌아가면서 차례로 치공을 먹여주었다. 어느 때 치공은 형의 아들인 치매郗邁와 생질인 주익周翼 등 두 아이를 데리고 얻어먹으러 갔다. 그러자 고향 사람은 말했다. "실은 우리도 굶주리고 있습니다. 선생은 현자賢子이시기에 우리가 모두 도와드리고 있는 것입니다. 아무래도 데리고 온 아이들까지 도..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